바이오헬스 분야가 차세대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에 약 10조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R&D) 예산을 30% 증액하는 등 '지원자' 역할에 나선 정부는 투자 효과 극대화에 주력하게 된다.
 
 ▲정부는 오는 2023년까지 바이오헬스 분야에 약 10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출처=연합뉴스)

정부는 11월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의하면 정부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헬스 3대 분야(의약품·의료기기·디지털 헬스케어)의 주요 36개사와 벤처캐피탈 5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은 2023년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분야별 투자계획 규모는 의약품 8조 4,000억 원을 비롯해 벤처투자(1조 4,000억 원), 의료기기(5,000억 원), 헬스케어(1,800억 원) 순이다.

연평균 증가율은 의약품 23.9%, 의료기기 10.0%, 벤처투자 9.2%, 헬스케어 41.7%로 전망됐다.

이들 기업이 투자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경우 2023년까지 생산이 연평균 약 20% 늘고 약 9,300명 규모의 신규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분석됐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의약품 및 의료기기 수출은 2017년 72억 3,000만 달러에서 2018년 82억 8,000만 달러, 2019년 89억 1,000만 달러 등 꾸준히 늘었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키트 수출과 신약 기술 수출 증가에 힘입어 지난달 기준 107억 7,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초로 연간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런 성장세를 뒷받침하듯 보건산업 분야 취업자 수는 작년 4분기 92만 명에서 올해 3분기 94만 1,000명으로 늘었다. 약 3만 명의 신규 일자리도 창출됐다. 바이오 벤처투자 역시 2017년 3,788억 원에서 지난해 1조 1,033억 원으로 증가했다.

정부는 개별 기업의 투자가 성공해 다른 투자 성공 사례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도록 사업화와 시장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분야별 맞춤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의약품은 업계의 가장 큰 요구였던 인력양성에 힘을 쏟는다. 올해 연세대 국제캠퍼스 내에 '바이오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2024년부터 개발·공정 인력을 연 2,000명 양성하기로 했다.

이로써 R&D에서 인·허가, 생산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 단계별로 전문인력을 적기에 공급해 기업의 성장 기반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의료기기는 내수시장 점유율 확대 차원에서 병원과 기업의 공동 R&D 발굴·개발을 지원한다.

K-방역 패키지(방역서비스-기기), 병원차(자동차-바이오헬스)와 같은 패키지형 수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선제적 R&D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100만 명의 유전체·임상정보 관련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가명처리 표준화 기술을 개발해 데이터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환자 안전과 진료 연속성을 위해 도입한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를 확산하는 등 바이오헬스 데이터 표준화에도 속도를 낸다.

이와 함께 송도(바이오의약품), 원주(의료기기·헬스케어), 오송·대구(바이오헬스 첨단 인프라) 등 주요 클러스터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이 과정에서 생산시설 부족 문제 해결과 관련해 공용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한편, 바이오 사업화 전문가 그룹이 컨설팅을 제공하는 '바이오카라반'을 추진하는 등 지역 클러스터의 기능을 확충할 계획이다.

연구장비와 사무공간을 공유하는 오픈랩'과 클러스터별 부족 자원을 상호 보완하는 '버츄얼 클러스터'도 구축한다.

내년도 바이오헬스 분야 R&D 예산은 올해보다 30% 증가한 1조 7,000억 원으로 편성됐다. 특히 범부처 협력연구에 올해(2,900억 원)의 2배 이상으로 늘어난 6,400억 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이날 전략 발표와 함께 바이오기업(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기업(정현프랜트·위아텍), 연세대 등과 '세계 최고 수준 바이오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 MOU'를 체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