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이 사건 이후 입양 가정을 향한 부정적인 시선이 확산되고 있다. 양부모이기 때문에 아동 학대가 발생했다는 잘못된 일반화로 상처받는 입양 가족들이 생기고 있는 상황이다. 입양이 취소되는 경우도 늘고 있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정인이 사건 이후 입양 가정을 향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대됐다는 목소리가 나온다.ⓒ데일리굿뉴스

입양 부모들 "입양 편견 확산 우려"

정인이 사건 이후, 입양 가정을 향한 편견들이 확산되고 있다. ‘입양 가정이기 때문에 폭력이 발생했다’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이다. 이러한 시선은 입양 가족 부모들이 가장 우려했던 부분이기도 하다.
 
두 명의 입양 자녀를 둔 오창화 전국입양가족연대 대표는 “가슴으로 낳은 아이들과 가정을 꾸린 입양부모와 예비 입양부모들이 주변의 부정적인 시선으로 위축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인이 사건이 입양의 문제인 것처럼 사회에 회자되고, 많은 언론이 그 방향으로 방송을 하면서 입양을 준비하시는 분들 같은 경우에는 주변의 가족들이 지금 ‘이런 시기에 어떻게 입양을 하냐’며 만류하는 이야기를 계속 듣게 된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중학생 입양 자녀를 둔 심은경(52, 서울 강동구) 씨와 주변 입양 부모들은 소식이 뜸했던 지인에게 갑자기 연락이 와 아이들의 안부를 묻는 경우가 많다고 토로했다.
 
심 씨는 “아이를 기다리면서 온몸으로 낳은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고생했다, 애썼다 그 말 한마디만 해주면 된다”며 “그 말은 안하고 대단하다고만 하는데 입양은 대단한 게 아니”라고 강조했다.
 
입양 가정도 평범한 가정의 모습이고, 입양도 출산과 같다는 것이 입양 부모들의 입장이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아동학대로 판단된 3만45건 중 양부모의 학대는 94건으로 전체 학대의 0.3% 정도다. 친부모의 학대는 72.3%로 조사됐다.
 
하지만, 입양이 문제라는 주변의 편견으로 입양을 보류하거나 취소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오창화 전국입양가족연대 대표는 “현재 입양기관에서의 입양 절차가 대부분 중단된 상태”라며 “입양을 통해 아이들에게 부모라는 울타리가 생기고, 삶이 180도 변하는데 그러한 기회를 얻을 수조차 없게 돼 안타깝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입양은 장려되어야 할 제도라고 강조했다. 김종인 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원 이사장은 “입양에 대한 주위의 관심이나 지지나 정책적인 지원이 상당히 필요한 부분이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우리 사회와 국가가 책임을 다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가 생명 존중의 가치로 어떤 생명이든지 존귀하게 여기고,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라며 “기독교에서도 입양에 관심을 갖고 지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입양은 홀로 지내는 아이들에게 울타리를 만들어주고, 새로운 가정이 꾸려지도록 하는 제도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입양이 위축되지 않도록 제도적 보완은 물론, 입양 가정을 바라보는 시선도 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