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장마당.(사진제공=연합뉴스)

북한 당국의 공식 허가를 받아 운영되고 있는 시장이 404개인 것으로 조사됐다. 상인과 관리자 등 관련 종사자만 110만 명에 달한다.
 
통일연구원은 9일 서울 서초구 연구원 청사에서 '북한 전국 공식시장 현황과 사회변화'를 주제로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을 비롯한 연구자 4명은 '구글어스' 위성지도 분석과 탈북민 면담ㆍ설문조사 등을 통해 북한 전역의 공식시장 분포 및 운영 실태 등을 공동 연구해 왔다.
 
'북한 전국 공식시장 분포와 지역별 특징'을 주제로 발표한 홍 위원은 비공식적 '장마당'과 구별되는 합법적 공식시장은 총 404개로, 시장 1개당 5만6천669명의 소비층 인구를 둔 셈이라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평안남도(65개)에 가장 많았고, 평안북도 51개, 함경남도 48개, 함경북도 46개, 황해남·북도 각 34개, 강원도 29개, 자강도 24개, 양강도 18개 순이었다. 이밖에 평양시 30개, 남포특별시 21개, 나선특별시 4개로 집계됐다.
 
인구에 비해 공식시장이 가장 많은 지역은 남포특별시로, 시장 1개당 인구가 1만7천467명으로 조사됐다.
 
위성지도를 통해 나타난 북한 공식시장의 대지 면적을 모두 더하면 약 184만㎡로, 일산 신도시보다 넓다고 연구팀은 추산했다. 한국의 동대문시장(1만4천437㎡)보다 넓은 시장도 북한 최대 종합도매시장인 청진 수남시장이나 평양의 통일거리시장을 포함해 북한 전역에 9곳 있었다.
 
연구팀은 특히 공식시장 면적을 매대 면적으로 나누는 방식으로 매대 수를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한 매대 상인 수에 시장관리소 인원을 더해 관련 종사자 수를 추산했다.
 
이렇게 집계된 북한 내 공식시장의 합법적 종사자는 총 109만9천여 명이었다고 홍 위원은 밝혔다.
 
그는 "공식시장 이외의 다양한 시장 영역을 고려하면 시장 관련 종사자는 몇 배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공동연구에 참여한 차문석 통일교육원 교수는 북한 당국이 공식시장에서 하루에 거둬들이는 장세(場稅ㆍ매대 사용료)가 북한 원 기준으로 14억4천855만여원∼18억4천761만여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미 달러화로는 공식환율(1달러=북한돈 110원) 기준 1천316만8천700여 달러∼1천679만6천500여 달러, 시장환율(1달러=8천300원) 기준 17만4천500여 달러∼22만2600여 달러로 추정됐다.
 
북한은 2003년 시장을 공식 허용했으며, 이후 각 지역 인민위원회 산하 시장관리소를 통해 장세를 징수하는 등 시장을 관리ㆍ통제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