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보건사회연구원가 발표한 연구 논문에 따르면, 2015년 메르스 치료에 참여했던 간호사 32명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군으로 분류됐다.

38명의 희생자를 낳은 중동호흡기증후군(이하 메르스) 사태 당시 감염환자를 직접 진료한 간호사 중 22%는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외상 후 스트레스란 외상성 스트레스 사건에 노출된 후 정신적, 생리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11일 보건사회연구원가 발표한 연구 논문 '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영향 요인'에 따르면 2015년 메르스 치료에 참여했던 간호사 144명 중 22.2%에 해당하는 32명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군으로 분류됐다.
 
연구팀은 메르스로 코호트 격리된 3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를 직접 치료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설문은 △과각성(외상 후 자극에 대해 과민 반응하는 상태) △회피(외상 후 생각을 둔화시키려는 노력 정도) △침습(외상 후 고통스러운 생각) △수면장애 및 정서적 마비·해리 증상 등을 묻는 22개 문항으로 이뤄졌고, 점수 구간은 최저 0점에서 최대 88점이었다.
 
기존의 의료계 기준을 적용해 22점 이상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판정했는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경향을 보이는 '부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18점 이상)에 해당한 간호사는 40명(27.8%)이었다.
 
연구팀은 메르스 사태 최전방에 있었던 간호사들은 119구급대원, 소방관, 정신과 병동 간호사가 받는 것보다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았다며 신종 감염병 발생에 대비해 의료진 보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소방관의 9.7%, 119구급대의 13.8%,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14∼17%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경험하고, 응급실 간호사는 20.4%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연구팀은 "중증급성호흡증후군(사스)이 보건의료인에게 미친 장기적인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보면, 의료인은 사건 발생 13∼26개월 후에도 높은 수준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겪는다"며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시간이 지나가면서 호전되기를 기대하기보다 조기에 심리적 치료를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