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국회의원 회관에서 더불어민주당 민생상황실 생활비절감팀이 주최한 '통신비 기본료 폐지, 무엇이 해답인가?'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자문위원회와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22일 발표한 통신비 절감 대책을 두고 '정부가 사기업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이라는 비판과 '통신비가 필수재가 된 만큼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통신비 절감 대책은 △선택약정할인율 20%→25%로 상향 △저소득층, 65세 이상 어르신 월1만1천원 감면 △공공와이파이 확대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와 관련, 23일 더불어민주당 생활비절감팀이 주최한 '통신비 기본료 폐지, 무엇이 해답안가?" 토론회가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는 통신비 인하 논의가 시작된 후 처음으로 이동통신 3사 임원과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가 모두 참석한 공개행사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았다.
 
발제자로 나선 안진걸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통신서비스는 현대인이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필수재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동통신 시장은 3사의 독과점 탓에 시장가격이 합리적으로 결정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이동통신시장은 통신 3사가 20년 가까이 시장을 점유해옴에 따라 경쟁이 매우 저조하고, 정부의 여러 정책들도 효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안 처장은 문재인 정부의 통신비 절감 대책에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는 "정책에서 기본료 폐지가 제외된 것은 매우 실망스러운 일"이라며 "기본료 1만1천 원 폐지와 더불어 다양한 인하 정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반면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대학 교수는 정부가 자유 시장에 과도하게 간여하는 것은 결국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실패에 이은 규제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 교수는 "통신은 기업이 정부로부터 경매로 주파수를 산 후 제공하는 민간 서비스이지 공공재가 아니"라며 "따라서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본료를 폐지할 경우 통신사의 수익성 악화로 5G 개발 등 미래 사업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미래창조과학부 양호나정 통신정책국장은 "이동통신 서비스가 필수재가 됐음에도 그 동안 정부가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했다"면서도 "통신비 부담 완화라는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료 폐지 논쟁보다 사용량 증대에 따른 통신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대한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