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이동성, 즉 상대적인 소득 수준이 이전보다 나아지거나 악화하는 현상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둔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발표됐다.
 
▲(일러스트=연합뉴스)

성명재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 30일 발표한 '소득 이동성의 구조변화 가설 검정과 인구 고령화의 영향 분석'논문에서 소득분위별 계층 이동성을 분석했다.

특히 이런 경향은 인구 고령화로 적극적 경제활동 인구 비중이 줄면서 더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각각 2007년과 2014년 10개 소득분위의 가구 분포가 1년 뒤인 2008년과 2015년에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해 비교한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10개 소득분위 모두에서 해당 분위에 잔류하는 가구 비율이 상승했다.

2007년 소득 1분위에 속한 가구 중 2008년에도 1분위에 남은 비율은 전체 10% 중 5.99%였다. 나머지 4.01%는 2분위 이상으로 소득계층이 상승한 것.

반면 비교 그룹인 2014년 소득 1분위 가구 중 2015년에도 1분위에 남은 가구 비율은 6.4%로 2008년과 비교해 0.41% 높았다.

2분위 이상 계층으로 소득계층이 상승하지 못한 가구 비율이 그만큼 늘었다는 것을 말한다.

고령화 영향 등 연령 요인을 제외하기 위해  65세 이상과 30세 이하 가구 비율을 제외해도 잔존가구 비율은 마찬가지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빈곤층(중위 가구 소득의 50% 미달)에 속한 가구가 다음 해 빈곤층에서 벗어날 확률을 뜻하는 빈곤 탈출률도 낮아지는 추세였다.

논문을 발표한 성 교수는 "적극 경제활동 연령 인구 안에서도 소득 이동성 저하 현상이 만연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사회적 이동성의 주요 지표 중 하나인 소득구조의 고착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