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석 정신건강의학과 이용석 원장 ⓒ위클리굿뉴스
하루가 멀다 하고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부하 직원에게 갑질을 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언제부터인가 '갑질'이라는 용어는 일상어가 됐다. 사전적인 의미로 '갑질'은 '권력관계에서 상위의 <갑>이 아래에 있는 약자인 <을>에게 행하는 부당행위'다.
 
갑질은 광범위한 대인관계에서 관찰된다. 즉 권력기관과 피권력기관 사이뿐만 아니라 평범한 직장의 상사와 부하 사이에서, 동네마트의 고객과 직원 사이에서도 전자가 후자를 부적절하게 괴롭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직접적인 폭력과 폭언 이외에 왕따와 배제 같은 간접적이고 은밀한 방식을 포함한다면, 갑질은 예상보다 훨씬 만연해 있는 현상이다.
 
남을 괴롭히고 또는 괴롭힘을 당하는 것을 다들 싫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갑질이 흔한 이유는 그것이 나름 쉬운 ‘의사소통’ 방식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갑질은 자신 안에 원치 않는 감정이 느껴질 때 이를 누군가에게 쏟아내 비울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인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는 살아나가기 팍팍하다. 점차 심화되는 빈부격차, 높은 노인빈곤율, 증가하는 비정규직 비율, 악화되는 청년실업문제 등등 도처에 문제가 산재해 있다. 이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자신들은 쉽게 분노감과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런데 이런 감정들을 내 마음 안에 계속 가지고 있는 것은 너무나 힘들어 바로 앞에 있는 부하 직원에게 이를 모두 쏟아 붓고 비워낸다. 이제 갑의 분노감과 좌절감은 이동해서 을의 마음속에 자리 잡는다. 을은 자신이 부당하게 당했다고 여기면서 화가 치밀고 무기력감을 느낀다. 그렇지만 정작 갑은 을의 마음을 전혀 공감하지 못하고, 을 때문에 이 모든 것이 일어났다고 탓할 뿐이다. 갑질은 부당하고 부적절 하지만 두 당사자 간의 의사소통방식이다.
 
현재 한국사회의 어려운 문제들을 당장 해결할 수 없다. 하지만 어려운 세상을 살아가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일어나는 사람들 사이의 갑질은 우리 자신이 노력해서 바꿀 수 있다. 갑질이라는 의사소통에 숨어있는 부당한 감정의 오고 감을 잘 안다면 이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얻어 수정해 나갈 수 있다. 당장 내 앞에 있는 부하직원 김 대리와 하청업체 이 부장이 느끼는 감정에 귀 기울여 보자. 그들의 얼굴에 무력감과 낭패의 흔적이 발견된다면, 혹시 그들의 감정이 혹시 내가 김 사장님 앞에게서 느꼈던 좌절과 실망의 감정은 아니었는지 생각해 보자. 이런 식으로 너와 나 사이 감정의 흐름에 공감한다면, 우리 사회의 병리인 갑질에 잘 대처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