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염이 장기화됨에 따라 '전력수급'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폭염으로 전력 수요가 연일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2011년 9·15정전사태가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 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일각에선 정부의 성급한 탈 원전 정책을 비판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전력 상황' 정말 괜찮을까?
 
 ▲조영탁 전력거래소 이사장이 중앙전력관제센터에서 전국 전력수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연합뉴스
 
부풀려진 전력 예비율 위험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윤한홍 의원은 "지난달(7월) 24일 최대전력수요는 1시간 동안 391만㎾ 급증했고, 당일 공급 예비력은 709만㎾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공급예비력이 500만㎾ 이하로 떨어질 경우 준비경보를 발령하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전력수요가 200만㎾만 더 올라갔어도 전국이 전력 비상에 빠질 수 있었다"고 말하며 '블랙아웃'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이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8월 3주까지 확보할 수 있는 총 설비 용량이 1억 73만㎾에 이르고 8월 전력수요 예측결과도 7월 최대 전력피크였던 9,248만㎾를 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총 설비 용량대비 지난달 전력피크를 빼면 대략 825만㎾의 예비전력을 확보한 것이다. 825만㎾는 유연탄 발전소 16기 규모다. 여기에 추가로 △수요감축요청(DR) 422만 △화력출력상향조절 60만 △긴급전압조정 90만 △긴급절전 91만 △공공부문 비상 발전기 12만 △냉방수요 원격관리 6만 등 총 681만㎾의 추가 예비자원을 확보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전력상황이 나쁘지 않지만 만일의 사태에 충실히 대비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권과 일부 언론에서는 계속해서 전력수급 위기론을 펼치고 있다. 2011년 9·15정전 사태를 언급하며 현재의 전력 예비율로는 부족하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기록적인 폭염을 계기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탈원전·신재생 에너지'로의 에너지 체제 전환에 저항하는 모양새다. 이들이 주장하는 전력수급 위기론의 논리는 현재의 탈원전·신재생 에너지로는 다가오는 미래의 전력수요량을 만족 시키지 못하니 원전과 석탄화력과 같은 기저발전을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올해 최대 전력피크 당시 확보했던 709만㎾는 기록적인 폭염이 있었던 1994년의 73만㎾의 약 10배, 9·15정전사태 당시 26만㎾에 비해서는 약 30배에 이르는 수치다. 절대 전력량은 부족하지 않은 상황. 그리고 9·15정전사태도 엄밀히 따져보면 '발전소'가 부족해서 생긴 문제라기보다는 즉시 가동할 수 없는 발전기의 용량이 전력거래소 수치에 포함되는 등 전력정보 은폐로 인한 인재의 측면이 컸다.
 
전력은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뤄지고 저장이 불가능해 자칫 설비 예비율만 높여 놓는다면 발전을 하지 않더라도 지급해야 하는 '용량요금' 때문에 비싼 전기를 써야 할 수 있다. 현재 필요한 것은 새로운 '발전소'가 아니라 올바른 전력수요 '관리'다.
(위클리굿뉴스 8월 19일, 37호 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