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5월 20일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해 11월말까지 국내를 공포에 떨게 했던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3년 만에 다시 국내에서 발생해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메르스 확진환자 사태와 관련해 국내 보건환경을 살펴보면 신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이 아직 걸음마 단계임을 알 수 있다. ⓒ연합뉴스

쿠웨이트를 방문했던 우리 국민이 지난 9월 8일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가운데 현지에서 우리 국민 2명이 검진을 받았으며, 그중 1명이 관련증세로 입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3년 전의 악몽이 국민들의 뇌리를 스치게 했다.

우리 국민의 메르스 확진 판정 발표 이후정부는 외교부 본부에 재외국민보호대책반을, 주쿠웨이트대사관에 현지 상황반을 각각 구성해 현지 보건당국 등과 협조체계를 구축하는 등 빠르게 대처하며 3년 전의 사태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 세계보건기구(WHO)가 9월 13일(현지시간) 제네바 본부에서 밝힌 바에 의하면 메르스 확진 판정 후 한국의 대응이 잘돼 확산 위험의 가능성은 매우 낮다.

마이크 라이언 WHO 긴급준비대응 사무차장보는 “(한국에서)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효율적인 조치들이 취해졌다. 환자 격리, 접촉 위험군 선별, 감시 등 한국 보건당국이 취한 조치들은 적절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이번 3년만의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에 따른 대응에서 공공검역 시스템에서의 허점이 하나 둘 드러났다. 즉 민간기관이 기민하게 대처한 반면 보건당국은 초기 검역 과정에서 허점을 보였고 이후 대응에서도 밀접접촉자 파악, 안내문자 발송 등에 오류를 보였다.

특히 보건당국은 최초 밀접접촉자를 20명이라고 발표했다가 휠체어 도우미, 리무진 택시기사를 추가한 22명으로 정정했다.

이후 또다시 항공탑승 여부가 뒤늦게 확인된 1명을 제외하고 21명으로 수정 발표하는 등 혼선을 빚어 ‘옥에 티’가 됐다.

한편 이번 메르스 확진환자 사태와 관련해 국내 보건환경을 살펴보면 신종 감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이 아직 걸음마 단계임을 알 수 있다. 이번에 발생한 메르스 확진환자의 사례에서만 봐도 메르스 치료에 특효인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

국내 바이오기업 진원생명과학이나, 셀트리온·일양약품 등에서 메르스 백신의 임상 1상에 돌입해 있거나, 메르스 치료제 전임상단계의 연구가 진행 중일뿐 특효약은 나오지 않았다.

이처럼 신종 감염병 예방 백신개발이 더딘 가장 큰 원인은 연구개발 기간이 촉박하다는 점 때문이다. 백신개발에 통산 10년 안팎의 시간이 소요되나 신종 감염병이 창궐한 시기는 상대적으로 기간이 짧았다.

신종 감염병 백신이 개발돼도 중동, 아프리카 등 저소득 국가들의 지역에서 전염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판매로 이어지지 못해 수익성 보장이 어려운 점도 또 다른 걸림돌이다.

이외에도 백신의 경우 안전성이 강조되다보니 단 한 건의 부작용이라도 발생하면 정부의 승인을 받을 수 없는 등의 여러 한계가 신종 감염병을 퇴치할 백신 개발의 난관이 되고 있다.
<42호 9월 23일자>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