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북한의 카운터파트가 만나는 북미고위급 회담이 오는 11월 둘째 주가 될 전망이다. 즉 11월 6일(화)로 예정된 미국 중간선거 직후인 내주 후반부에 열리는 쪽으로 물밑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진 셈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차 북미정상회담이 내년 초에 열릴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이 워싱턴발로 19일(현지시간) 보도한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이날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10여일후 북미 고위급 회담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트럼프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위원장이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이번 회담은 폼페이오 장관이 지난 10월 19일 ‘열흘쯤 뒤’ ‘여기’에서 열리기를 매우 기대한다고 거론한 고위급 협상 채널이다. 이에 한동안 답보상태인 듯했던 북미 간 빅딜 논의에 돌파구를 마련하는 동시에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 준비가 다시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앞서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19일 한 인터뷰에서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를 잡는 작업을 하고 있다며, 관련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 “약 열흘 내에” 자신과 북한 측 카운터파트의 고위급 회담이 ‘여기’에서 열리기를 매우 기대한다고 밝혔었다.

북미가 최근 잠정 합의한 날짜는 11·6 중간선거 직후인 11월 둘째 주, 즉 내주 후반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그 구체적 시점은 9일 전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북미 간 협상의 특성상 날짜가 막판에 추가로 조정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회담 장소로는 뉴욕이나 워싱턴DC 등이 거론된다.

북한 측은 아직 미국에 구체적 명단을 전달하지 않았으나 폼페이오 장관의 협상 파트너는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외교소식통은 “아직 확실하진 않지만 김 부위원장이 고위급 회담에 나올 가능성이 유력한 것으로 미국 측은 보고 있다고 들었다”라고 설명했다.

김 부위원장은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이 열리기 전인 지난 5월 말∼6월 초 방미, 뉴욕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고위급 회담을 한 뒤 워싱턴DC로 이동,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친서를 전달한 당사자다.

북미고위급 회담이 성사될 경우 북측 고위 인사가 5개월여 만에 다시 미국 땅을 밟게 되는 셈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1차 세계대전 종전 100주년 기념행사 참석을 위한 프랑스 방문(11일) 일정이 예정돼 있어 이번 북측 고위 인사가 방미하는 동안 트럼프 대통령과 만남이 이뤄지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번 북미고위급 회담에서는 내년 초로 예상되는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 등 정상회담 준비와 함께 북한의 비핵화 초기 실행조치 및 미국의 상응 조치 문제 등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2차 북미정상회담의 날짜와 장소에 대해 이번 고위급 회담에서 어느 정도 윤곽이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은 아니라고 그 가능성을 차단한 가운데 유럽 등 중립적 제3국 개최 가능성 등이 거론됐다.

앞서 김 위원장은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당시 풍계리 핵실험장이 불가역적으로 해체됐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사찰단의 방문을 요청했다고 당시 미 국무부가 발표한 바 있다.

이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3차 남북정상회담 당시 합의한 9월 평양 공동선언에는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동창리 엔진 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의 영구 폐기 ▲미국의 상응조치시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 등 추가적 조치가 담겼다.

외교소식통은 “풍계리 핵실험장 사찰 문제와 동창리 엔진 시험장, 영변 핵시설 관련해서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북미 간에 기 싸움이 고조됐던 대북제재 완화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보여 일정 부분 접점 마련이 이뤄질지도 주목된다.

북한은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을 계기로 무게중심을 ‘종전선언’에서 ‘제재완화’로 옮겨가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미국은 ‘선(先) 비핵화’로 맞서며 당분간 제재 유지 입장을 견지해왔다.

이와 관련 북한이 구체적으로 어느 수준의 비핵화 실행조치를 내놓느냐와 미국의 상응 조치 수준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미는 고위급 회담 후에 실무회담 채널을 가동, 2차 북미정상회담 실행계획 등에 대한 후속 조율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북미고위급 회담→실무협상’의 순으로 조율이 이뤄진 뒤 내년 초 2차 정상회담에서 이를 토대로 북미 정상이 담판에 나서는 프로세스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즉, 북미고위급 회담 이전에 실무협상이 열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와 관련 한 소식통은 “전체적으로 톱다운 협상 기조인 만큼, 고위급 회담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그 이전에 실무협상이 열리기보다는 고위급 회담 후에 실무협상을 열어 2차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마지막 조율을 하게 되는 경로를 밟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