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 어린이들에게 인기가 높은 액체괴물 장난감이 안전기준에 미달되는 제품으로 발표되면서 대거 리콜조치가 이어졌다. 이번 조치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이 지난 10월부터 12월까지 어린이제품과 생활·전기용품 1,366개에 대한 안전성조사 결과에 의한 것이다.
 
 ▲경기도 군포시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에서 연구원들이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액체괴물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최근 어린이 제품안전성 조사 결과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74개 업체, 132개 제품에 대해 수거·교환 등의 리콜 명령을 내렸다. ⓒ연합뉴스

이 가운데 액체괴물 등 어린이제품이 104개나 리콜 대상이 됐다. 특히 최근 어린이들로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액체괴물의 경우 시중 유통 190개 제품을 정밀 조사한 결과 76개 제품에서 방부제, 폼알데하이드, 프탈레이트 가소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폼알데하이드는 시력장애를 비롯해 피부장애, 소화기 및 호흡기 장애를 유발하는 물질이다. 프탈레이트는 간과 신장 등에 손상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조사에서는 어린이제품의 부적합률(8.5%)이 전기용품(4.7%)이나 생활용품(4.0%)의 2배나 됐다. 그만큼 올해 어린이제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액체 괴물 장난감의 경우 이미 지난해 1월 전량 리콜 조치가 내려진 적이 있으나 그 이후에도 계속 시중에 유통돼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 10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의원(전남 여수)은 형광 분홍색 액체 괴물이 든 플라스틱 통을 들어 보이며 “이 액체 괴물 안에 가습기 살균제에 함유된 유해성 물질이 똑같이 들어있어 올해 1월 전량 리콜하겠다고 산업부가 발표했는데 여전히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당시 김 의원에 의하면 의원실에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구매를 시도한 결과 아무런 어려움 없이 제품을 손에 넣을 수 있었다. 그동안 소비자들은 액체괴물이 유해 상품인지, 리콜 대상인지의 여부를 전혀 알 수가 없었다는 구조적 모순이 그대로 드러난 셈이다.

학용품, 장난감 등 유해물질에 둘러싸인 아이들

액체괴물만이 어린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 주변에 유아용 장난감이나 제품은 물론 어린이들이 활동하는 공간인 놀이터와 학교 운동장 등에도 어린이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유해환경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다.

작년 2월에는 지우개나 필통처럼 어린이들이 자주 쓰는 학용품에 기준치를 훨씬 넘는 환경호르몬과 가습기 살균제 물질이 검출돼 논란이 됐다. 그러나 문제의 제품들은 이후에도 버젓이 소비자들에게 유통됐다.

당시 문제가 된 지우개 등 8개 제품에서는 아이들이 실수로 삼키거나 씹었을 경우 상당히 위해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그림물감의 경우 다수의 회사에서 생산한 제품에서 가습기 살균제 물질인 CMIT/MIT가 함유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가운데는 기준치의 최대 5배 넘게 든 것도 있었다. 이 제품들은 호흡기에 직접 영향을 줄 가능성은 적지만, 피부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것으로 지적돼 논란이 됐다.

또한 어린이놀이터의 경우 어린이들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합성고무 바닥의 유해성은 물론 정서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파트 놀이터의 모래에서 대장균이 검출된 사례나, 다수의 학교에 깔린 폐타이어 충진재가 함유된 인조잔디도 문제로 지적된 바 있다.

특히 폐타이어 충진재가 함유된 인조잔디는 특성상 오래되고 잦은 답압(踏壓)에 의한 마찰로 분진이 발생한다. 이렇게 흩어 날아오른 폐타이어 가루들이 아이들의 호흡기에 흡착돼 폐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보이는 물건들을 입에 넣는 영아들의 특성을 감안한 셀룰로이드나 플라스틱류 장난감들의 환경적 안전성 여부도 의구심이 들 정도다.

이처럼 어린이용품이나 어린이들 주변을 둘러싼 유해환경의 문제해결방안은 어떻게 될까?

환경 전문가들은 어린이 유해용품 관련 문제점들이 반복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린이용품의 유해물질 사용을 줄이기 위한 규제수단·유인수단·지원수단 등 다양한 정책수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어린이 용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효성 있는 유해물질 관리를 주문한다. 물론 기업들도 유해물질 관리 업체들과 유해불질의 정보 공유 및 관리를 위한 상호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기존의 완제품에 대한 소극적인 유해물질 관리에서 벗어나 원·부자재 관리에서부터 유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해물질 관리방안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