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은 태어나 늙는다. 노화는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자연의 섭리다. 과학과 의료의 발달로 평균 기대수명 100세를 바라보게 됐지만, 이를 축복이라고 여기는 이들은 많지 않다. 이러한 노인을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 역시 그리 호의적이지 않다. 경제활동 중단으로 인한 노인 빈곤과 각종 질환 등 또 다른 고민거리와 과제를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의 또 다른 그늘인 고령화의 문제점과 그 대안을 조명해 본다.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는 일본을 추월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제공=연합뉴스)

고령화 따른 사회적 비용 증가…세대간 갈등 요인

우리나라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최초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마저 가볍게 제칠 정도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는 총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725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웃돌았다. 2026년에는 그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이 44년, 프랑스가 40년, 일본이 12년에 걸쳐 도달한 초고령사회를 우리나라는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8년 만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수명은 늘었지만 경제활동에서 물러나는 시기는 과거보다 빨라지고 있다. 통계청이 2018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는 평균 연령은 49.1세였다. 다시 말해 장수하면서도 이른 퇴직으로 인해 별다른 수입 없이 근근히 살아가야 하는 시기가 길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노인 빈곤과 고독사, 치매 등 노인성 질환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됐다. 일자리 부족과 노인 부양 문제 등 현재 경제활동을 하는 청·장년층과 노년층 사이에 발생한 세대 간 갈등도 그 어느 때보다 골이 깊다.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 경제활동 인구는 줄어드는데 부양할 노인 인구는 급격히 늘어나면서 근로자 1명이 책임져야 할 부담이 커지고 있다. 노인 인구가 집중된 지방 시·군·구가 소멸될 것이라는 우려 역시 먼 미래의 일로만 치부해서는 안되는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노인들에 대한 편견을 넘어 혐오 정서가 확산되는 것 또한 고령화 사회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한다. 과거 경험이 중요했던 전통시대에는 노인의 연륜과 지혜가 존중받았지만, 오늘날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이들의 지혜는 빛을 바랬고 ‘천덕꾸러기’ 신세로 전락했다. 노인충(노인+벌레), 틀딱(틀니를 딱딱거리는 노인), 혐로(노인혐오)과 같은 비하 표현들이 왕왕 쓰이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일찍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일본에서는 소외감과 고립감이 분노로 변해 범죄를 저지르는 ‘폭주 노인’들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사회적 약자로 취급됐던 노인들이 직접 무기를 들고 범행을 저지르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65세 이상 고령자에 의한 범죄가 해마다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혐오가 더 이상 노인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이유다.
 
유럽연합(EU)은 고령화를 위기이자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규정했다. 실버 경제 측면에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며 미래에 대비하고 산업 경쟁력 제고도 함께 시도하고 있다. 인구 10명 중 2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노인성 질환 예방 및 관리 등 의학적 연구 뿐만 아니라 노인의 사회활동 활성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활동적이고 건강한 고령화를 위해 전천후 생활보조 프로그램 등과 같은 시스템을 정부와 기업, 노인 당사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함께 마련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 해결도 시급하지만 이미 현실화한 고령화 문제 해결에도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보건의료 및 복지, 산업 영역과 생활환경 전반에 걸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개발의 명확한 방향성 제시가 필요하다. 노인성 질환 치료 및 돌봄 분야에 집중된 현재의 연구에서 벗어나 건강, 주거, 교통, 노동, 여가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친 고령자 친화기술 개발과 사회적 분위기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