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가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 반짝 반등에 성공했다. 늘어난 취업자 수 대부분은 정부가 시행한 공공부문 일자리와 노인일자리사업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노인 일자리로 쥐어짠 '고용 개선'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달 취업자가 1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 반짝 반등에 성공했지만 노인 일자리로 쥐어짠 '고용 개선'이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온다.

올해 2월 취업자는 전년 대비 26만 3000명이 증가해 13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2월 고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취업자는 2,634만 6,000명으로 전년 동월 취업자 33만 4,000명보다 높다.
 
그러나 이같이 늘어난 취업자 수 대부분은 정부가 8천억 원을 들여 추진한 공공 일자리, 노인 단기 일자리 사업으로 만 60세 이상 취업자가 40만 명 가까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정부가 마련한 노인일자리는 1분기에 53만 5,000개의 일자리를 공급한다. 노인일자리사업은 3개월에서 1년 정도 단기로 운영되며 쓰레기를 줍거나 폐기물을 수거하는 등 허드렛일이 대부분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1·2월에 25만 개 정도의 노인 일자리가 공급됐는데 대부분 2월 채용이었다”며 “취업자 증가의 대부분은 노인일자리사업으로 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실질적인 취엽률 증가라고 보기 힘든 통계라는 지적이다.
 
반면 실업자 수도 많이 늘었다. 2월 전체 실업자는 130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8,000명 늘어나면서 2017년 2월 이후 2년 만에 최대치다.
 
이런 가운데 연령별로 보면 우리 경제의 허리역할을 하는 30~40대 취업률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다. 가장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는 30대는 11만 5,000명, 40대는 12만 8,000명 감소했다.
 
산업별 취업자를 기준으로 할 때 제조업과 도매 및 소매업에서는 취업자 수는 각각 15만 100명, 6만 명 등으로 감소했다. 고용부진이 계속된 해당 산업의 취업자 수 감소폭이 축소되긴 했지만 노인일자리 사업, 보건·복지·공공행정 등 정부가 진행하는 공공일자리 위주로 취업 증가폭을 보인 것과는 상반된다.
 
청년들의 체감 실업률도 동시에 증가했다. 청년 체감 실업률은 1년 전보다 1.6%포인트 상승한 24.2%로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취업자가 큰 폭으로 늘어났지만 일자리 질(質) 측면에서는 여전히 악화의 길을 걷고 있다며 고용상황이 개선된 것으로 보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