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8주기를 맞았다.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규모 9.0의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해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대거 유출되면서 거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져온 사고였다. 악몽과 같았던 이 사고가 발생한 지 8년이 지난 지금의 상황은 어떤지 살펴봤다.
 
 ▲처분하지 못한 오염수가 급격히 늘어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에는 오염수 100만 톤(t)이 물탱크에 담긴 채 보관되고 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처리수 문제해결 ‘시급’…상처는 현재진행형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규모 9.0의 대지진이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생했다.
 
피해는 상상을 초월했다. 쓰나미, 건물 붕괴, 화재 등으로 정부 추정 16조엔(1,600조원)~25조엔(2,500조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했다. 2차 피해와 사회적 피해까지 하면 금액은 더 커진다. 사망자, 실종자, 사상자를 모두 고려하면 약 2만 2,131명에 달한다.
 
지진 피해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쓰나미로 침수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사고였다. 엄청난 양의 방사능 물질이 물과 공기 중으로 유출됐다. 이는 1979년 미국 스리마일 원전사고, 1986년 옛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와 함께 세계 3대 원전사고로 꼽힌다.
 
일본은 원전 사고 후 유출된 방사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막대한 예산을 투자해 △육측차수벽과 해측차수벽 구축 △정화 시설 건설 △오염수 저장 탱크 확보 등에 총력을 기울였다. 당시 민주당 정권은 ‘원전 제로’를 표방하며 원전 가동을 중단했지만 아베정권은 2013년 ‘신규제기준’을 만들어 원전 재가동 정책을 펴고 있다.
 
8년이 지난 지금도 상황은 나아지지 않았다. 장정욱 미쓰야마대 경제학부 교수는 “여전히 방사성 오염수와 방사성 물질이 사고 현장에서 지속해서 방출되고 있다”며 “2011년 이후 수차례 오염된 물이 유출됐지만 일본정부와 도쿄전력은 여전히 얼마만큼의 오염원이 유입됐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장 시급한 것은 방사능 오염수 문제 처리다. 후쿠시마 제1원전 부지 안에는 방사능 오염수를 정화 처리한 물이 탱크에 보관돼 있다. NHK에 따르면 아직 원전 부지 내 존재하는 방사능 오염수 보관 탱크는 948개, 오염수의 양은 무려 112만 톤에 이른다.
 
이에 대해 일본 원자력규제위원회는 “오염수를 깨끗한 물과 섞어 방사능 수치를 기준 이하로 떨어뜨린 후 바다에 방류하는 방안이 현실적으로 최선”이라는 입장이다. 원전 내 부지가 점점 없어져 오염수를 담아 저장할 장소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오염수를 인근 바다에 방출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현지 주민들과 우리나라, 중국 등 주변국과 국제 환경단체 등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방사능 피해지역의 인구 감소 문제도 심각하다.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피난생활 중인 주민은 5만 명을 넘는다. 아직도 7개 읍, 면의 출입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으며,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세 지역의 인구는 8년간 30만 명이 줄어들었다. 토지 정리작업이 지연되고 있는 지역들도 있다.
 
공영주택에 입소한 피난민이 고독사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NHK는 “최근 1년간 고독사 한 피난민이 76만 명에 이른다”고 밝혔다.
 
지난해 10월 후쿠시마 현지에서 방사성 물질 오염정도를 조사한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에 따르면, 출입금지 피난구역과 피난지시 해제로 주민들이 복귀한 지역에서 국제 최대권고치 보다 약 100배 가까이 되는 고준위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일반적인 원전 발전시설이라면 ‘응급상황’으로 분류될 만큼 심각한 수준이다.
 
그린피스는 “어린이와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오염 상태는 22세기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처럼 후쿠시마의 비극이 이어지는 가운데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현을 2020년 도쿄올림픽을 성화 릴레이의 출발지점으로 잡고, 일부 경기를 진행하는 등 재난지역 부흥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8년 전 원전사고의 참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