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 본격 시행에 맞춰, 인건비 증가와 생산감소에 대한 타격을 최소화 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자동화 시스템 활용을 늘릴 경우 일자리 감소가 예상돼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공지능 전시 안내 로봇 '큐아이' (사진제공=연합뉴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고용 창출 기대

스포츠용품을 생산하는 A 기업은 두 달 뒤 완공 예정인 공장 때문에 100명을 추가로 채용할 계획이었지만 이를 철회했다. 채용인원을 10명으로 줄이고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기로 했다.

주 52시간 근로제를 위반하지 않고 물량 납기를 맞추기 위해서다. 줄어든 근로시간만큼 인력을 고용해야 하는데, 인건비보다는 설비에 투자하는 쪽을 선택한 것.

정부가 기대한 일자리 창출 효과와는 반대의 결과다.

민간경제연구소 파이터치연구원은 근로시간 단축이 단위임금 상승과 고용감소를 불러와 기업 생산과 가계 임금소득 감소를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52시간 근로제를 시행하면 연간 일자리가 40.1만개, 임금소득이 5.6조원 소비가 5.5조원, 기업 수가 7.7만개 감소한다.

성공적인 대안 모델 찾아야

기업에서는 탄력적 근로 시간제의 단위시간 확대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실제로 대한상공회의소가 대?중견 기업을 상대로 근로시간 단축의 대안을 묻는 설문조사를 한 결과, 48.9%가  ‘탄력적 근로 시간제’라고 답했다.

하지만 노동계에서는 과로 방지와 임금 감소를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기업은 탄력적 근로 시간제 단위기간 확대가 불가능하다면 자동화 설비 도입이 불가피 하다는 입장이다.

한편 자동화를 도입하면서 노동력을 축소하지 않은 사례가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아마존의 경우 지난 2014년 창고용 로봇을 대거 도입했지만 직원들에게 로봇 감독과 점검 업무를 배당했다. 로봇투입으로 인한 인력 감소는 없었으며, 업무부담은 줄이면서 주문처리 속도는 높였다.

대량 실업을 막고 단순 노동자들을 로봇 관리자로 육성해 로봇과 인간의 협업을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대한상공회의소는 "대·중견기업의 어려움도 상당한 만큼 대응 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중소기업의 어려움은 더욱 클 것"이라며 "시간이 지나면 문제가 해소될 것이라고 막연히 기대하기보다는 정부가 현장 애로를 면밀히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