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은 어린아이부터 고령까지 전 세대에서 많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사진제공=동탄시티병원)

탈장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돌출되거나 빠져나오는 증상으로, 전 세대에 걸쳐 많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탈장 환자는 60대가 2만 4,90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세 미만 2만 1,765명 △50대 2만 508명 △20~30대 1만 5,000명 순으로 집계됐다. 
 
탈장은 발생 위치에 따라 서혜부, 배꼽, 대퇴, 복벽 탈장으로 구분된다.  
 
서혜부 탈장은 성인에게 나타나는 가장 흔한 형태다. 노화로 복벽이 약해지거나 과도한 복압 상승이 동반될 때 사타구니 주변에 발생한다. 특히 가수 김종국처럼 격렬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남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서혜부 직접 탈장은 서혜부를 받치고 있는 복벽이 후천적으로 약해지면서 내장이 밀려 나와 발생한다. 간접 탈장은 태생기 고환이 내려오는 길이 막히지 않고 유지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음낭 부위가 볼록하게 튀어나오고 무언가 만져지는데, 서혜부에 약한 통증이나 묵직한 감각이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방치할 경우, 장기가 탈장 구멍에 끼게 되어 장이 폐색되거나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극심한 통증과 속이 메스껍고 구토를 하는 등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제대 탈장이라고도 하는 배꼽 탈장은 제대 부위에 구멍이 남아 있거나 복벽이 얇아지면서 복강의 내용물이 돌출 후 나오는 질환이다. 아이 때 배꼽 탈장을 겪은 후 성인이 되어 다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보통 임신이나 출산, 복부비만, 복수가 많이 차 있는 간경변증과 같은 간 질환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배꼽 탈장 역시 방치하면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탈장된 장기가 구멍에 끼어서 꼬이면 혈액이 통하지 않게 되고, 서혜부 탈장과 같은 증상으로 심화될 수 있다. 심한 경우 장기가 썩어 절제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상증세가 발생하면 병원을 방문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탈장은 초기에 증상이 거의 없고 눕거나 손으로 누르면 제자리에 돌아갈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반복하면 탈장 구멍을 더 크게 만들고 괴사, 구토, 발열 등 감돈과 장폐색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동탄시티병원 외과센터 양선모 원장은 “호흡기 질환 등으로 인한 심한 기침과 흡연 등, 배 압력을 높이거나 배 속 복벽 조직이 약해지게 만드는 생활 습관은 탈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며 “오래 서 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 복압을 올릴 수 있는 행동은 가급적 피하고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의 식사를 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