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이 영하로 뚝 떨어지면서 차디찬 방에서 쓸쓸하게 최후를 맞는 안타까운 죽음이 잇따르고 있다. 열악한 환경에서 홀로 생활하다가 추위에 지쳐 쓰러지거나 돌봐주는 사람 없이 방치되는 경우가 다반사다. '고독사 대국'이라 불리는 일본의 전철을 밟고 있는 지금, 고독사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5년 사이 고독사가 80% 가까이 늘어나면서 사회적문제로 대두됐다.  

자고 나면 들리는 '고독사'…"청년층도 예외는 아니다"
 
부산만하더라도 지난 4일부터 5일 연속 고독한 죽음을 맞은 이들의 소식이 전해졌다. 충격에서 벗어나기도 전, 14일에 또 한 건의 고독사가 발생하며 안타까움을 더했다.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6월 이후 부산에서 발생한 고독사는 모두 27건이다. 이제 고독사 문제는 한국 사회에서 더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고독사로 추정할 수 있는 무연고 사망자 수는 2012년 749명에서 2014년 1천8명, 지난해 1천226명으로 5년 사이 80% 가까이 늘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 65세 이상이 40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59세가 300명, 60~64세 205명, 40~49세 143명, 40세 미만 66명 순이었다. 65세 이상 홀로 사는 노인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고독사 발생 비중이 40~50대 중년층에서 높게 나타나는가 하면, 20~30대 청년층도 잠재적 고독사 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서울시 복지재단이 2013년 서울에서 발생한 고독사 3천343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50대가 60대(368건)와 70대(385건)를 제치고 524건(22.4%)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가장 주목할 점은 20~30대 청년층 비율이다. 20대 102명, 30대 226명 모두 합쳐 14%나 된다.
 
대책 없는 고독사 문제…"사회적 관계회복이 급선무"
 
고독사는 이제 노년층만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은 1인가구 증가로 인해 잠재적 고독사 수가 한층 더 많아질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운데에서도 고독사에 대한 대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일차적으로 고독사에 대한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가 발표하는 무연고 사망자 현황은 사실상 추정치로, 실제 고독사 현황 자료는 현재로선 없는 상태다.
 
무연고 사망자수 통계 집계도 시신을 인계할 가족이 없는 기초생활수급자나 병원·장례식장에 장제 급여를 주고 장례를 치른 경우는 제외하고 있어 신뢰성에 문제가 제기된다.  
 
홀로 사는 이들을 관리할 정부 인력이 부족한 것도 문제로 꼽힌다. 사회복지사 1명이 담당하는 복지대상은 여전히 300명을 웃도는 상황이다.
 
이에 일부 지자체에서는 여러 가지 공적 시스템 도입을 시도 중에 있다. 서울시는 최근 쪽방촌 80가구에 고주파로 사람의 움직임을 체크하는 스마트 감지센서를 설치했다. 경기 남양주시는 노인 가정에 '활동 감지센서'를 설치해 일정 시간 움직임이 없으면 자녀 휴대전화로 연락이 가게 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은 우체국 집배원과 미용사, 통장 등 동네사정을 훤히 아는 이들에게 복지 소외계층을 발굴하게 해 지자체 지원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내놨다.  
 
이런 노력에도 전문가들은 이웃을 향한 관심과 배려가 먼저라고 제언한다. 사회적 관계회복이 없는 한 개인주의 풍토가 심화되면서 고독사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만다는 것이다.       
 
이호선 교수(숭실대 기독교상담복지학과, 한국노인복지센터)는 "생존이라는 것은 한 번만 우리가 돌아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라며 "시스템과 기술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야말로 타인에 대한 ‘관심’이 고독사 예방의 최선이자 최고의 돌봄망"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